이 글을 클릭 하신분들은 magin, padding이 어떤 기능인지는 알지만,
아래와 같이 2개 이상일 때, 어디가 top 인지 letf인지 헷갈리시는 분들일텐데요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이번 포스팅을 통해 확실하게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(margin과 padding은 사실상 같은 원리이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margin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.)
margin이 1개 일때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1개 일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1개 일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아래와 같이 top, right, bottom left 전체에 적용이 됩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1개 일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1개 일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위와 같이 일괄적으로 지정하는게 아니라 각각 다른 크기를 지정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margin이 4개 일때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4개 일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4개 일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아래와 같이 top을 기준으로하여 시계방향 으로 크기가 지정됩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4개 일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4개 일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사실 여기까지는 크게 헷갈리는 부분은 없을텐데요, 문제는 2개, 3개 일때입니다.
하지만 이 경우에도 앞서 배운 margin이 4개일때 적용했던 방법을이용하면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.
margin이 2개일 때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2개일 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2개일 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1. 아래와 같이 일단 4개일때 사용했던 방법처럼 top을 기준으로 하나씩 채워 넣습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2개일 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2개일 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그런데 bottom 과 left 가 비어있죠? 이 값들은 아래와 같이 마주보는 위치로 값을 주면 됩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2개일 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2개일 때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정리하자면 margin이 2개일때, 첫번째 값은 top과, bottom에 , 두번째 값은 right와, left에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margin이 3개일 때
margin이 3개일때도 마찬가지가 원리가 적용됩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3개일 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3개일 때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dS8LJ/btrn0k15q7R/Zy2eJZtGVmnTvApBA82Om1/img.png)
1. top 을 기준으로 값을 채워넣습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3개일 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3개일 때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TkP86/btrnVaGuiXj/kblv87W4is39NI6k4K38A1/img.png)
2. 없는 값은 마주보는 곳에서 값을 가져옵니다.
![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3개일 때 [css 기초] margin , padding 매번 헷갈리시는 분들 위한 포스팅 - undefined - margin이 3개일 때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YGKd/btrnXZDZJux/QH4Vjo9HjlONcHBKYrk4k0/img.png)
정리하자면 margin이 3개 일때는 ,
첫번째값은 top
두번째값은 right, left
세번째값은 bottom 으로 할당됩니다.
'css |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 기초] width: auto 와 width: 100% 차이 (0) | 2022.01.04 |
---|
댓글
꼬예님의
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!
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,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.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.
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, 결제할 수 있습니다.
글 본문,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,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.
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,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