숫자 타입 값을 formatting 하는데 사용되는 #와 0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) 정수 케이스
빨간 사각형부분에 위치한 0은 우리가 인풋으로 넣는 데이터를 의미하고,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기본구성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5C6B/btrG6cMThSh/3AVCNmkKjpzFl2UZpXJEe0/img.png)
:(콜론) 다음에 위치한 값이 인풋으로 들어온 값을 어떤 format으로 만들어줄지를 적어주는 곳입니다.
이번 포스팅의 주제인 #, 0이 각각 위치해 있네요.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YjjK6/btrG4VklEmq/zrAMniVC387eKHbZx4jlE0/img.png)
output을 보니 #, 0 둘다 한개만 적어줬는데 모든 숫자를 반환합니다.
이번에는 #, 0을 두개씩 적어보겠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2개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bqEl/btrHaUDGNZP/KqlN27Q6Lr3racPWjzLjoK/img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zgYH5/btrG4UsdA8s/3k9UkMTpSHM6HhnvgHEtpK/img.png)
여전히 같은 값을 출력합니다.
이번에는 세개씩 적어보겠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3개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531f/btrHbVWM8jX/GD8EwTmyZp5iyBcJELIf00/img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c1Rpg/btrG8H6MoF2/4gk4R2E3kUKK925Ip7JHNK/img.png)
여전히 같네요.
이번에는 입력 값의 자리수(4자리)보다 더 많은 5개를 넣어보겠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5개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wLkKx/btrHapYpBVX/AVNhQYCwVZMy41XgolK3K0/img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XT3z/btrHapRBhFx/SZV5nap1l9lkST5yBMZ110/img.png)
드디어 차이가 보이기 시작합니다.
# 같은 경우 입력 데이터 자릿수보다 많을경우는 그냥 무시 하고,
0 같은 경우 늘어난 갯수만큼 0으로 채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2) 소수점 적용 케이스
이번에는 소수점이 포함되어 있는 숫자의 경우입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소숫점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Hv1W/btrHaYTJ4Tr/GQdZMI3JMMNodl8ejPDS31/img.png)
.(점)을 기준으로 왼쪽부분은 정수 formatting , 오른쪽 부분은 소수점의 formatting을 관여하는 부분입니다.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4LMS9/btrG8saWGf9/1yl5qvZuik4k7gKHT3pwYk/img.png)
정수 파트에서는 #, 0 하나만 적어줘도 정수부분을 다 출력 해줬는데 소수점 파트는 #, 0 한개씩만 적으니 1자리수만 출력합니다.
이번에는 소수점 파트에 #, 0 각각 2개씩 넣어보았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bv6YQ/btrG8lv0q54/Iki5n7qDSg5yn8e9kXil20/img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2XHeZ/btrG9lozBzc/KZaaxLtfpIzPFWlspfePok/img.png)
소수점 2자리수까지 출력이 되네요.
그러면 5개를 넣어보면 어떻게 될까요?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5개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zwyh/btrG8nm5pUN/Kxeqexw2DEK6tJ1QvoyYKK/img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output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22pED/btrG8zt0NQT/k9lQ9k81lokOoA2jL78tM0/img.png)
0은 부족한만큼 뒤에 0을 추가하고, #은 입력 자리숫자보다 많은 부분은 그냥 무시합니다.
+보너스
큰 자리 숫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콤마(,)를 통해 천의 자리 마다 끊어주는데요.
이 기능을 string.Format을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+보너스 콤마구분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fAY6/btrHbUKlx5E/QaWiAPkfsm6663mzHN8AD1/img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+보너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+보너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WZ6D/btrG8sWlHcE/kMHDfWduJtljAGi896YW50/img.png)
'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#] SQL in / not in 기능을 LINQ로 구현 (0) | 2022.07.15 |
---|---|
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(0) | 2022.07.14 |
[c#] EventHandler란? (0) | 2022.07.12 |
[c#] 이벤트란? | 델리게이트와 차이 (0) | 2022.07.11 |
[c#] 이메일 자동으로 보내기 (gmail smtp 이용) 최신 + 파이썬 (3) | 2022.07.08 |
댓글
꼬예님의
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!
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,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.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.
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, 결제할 수 있습니다.
글 본문,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,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.
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,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