숫자 타입 값을 formatting 하는데 사용되는 #와 0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) 정수 케이스
빨간 사각형부분에 위치한 0은 우리가 인풋으로 넣는 데이터를 의미하고,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기본구성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:(콜론) 다음에 위치한 값이 인풋으로 들어온 값을 어떤 format으로 만들어줄지를 적어주는 곳입니다.
이번 포스팅의 주제인 #, 0이 각각 위치해 있네요.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을 보니 #, 0 둘다 한개만 적어줬는데 모든 숫자를 반환합니다.
이번에는 #, 0을 두개씩 적어보겠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2개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여전히 같은 값을 출력합니다.
이번에는 세개씩 적어보겠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3개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여전히 같네요.
이번에는 입력 값의 자리수(4자리)보다 더 많은 5개를 넣어보겠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5개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1) 정수 케이스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드디어 차이가 보이기 시작합니다.
# 같은 경우 입력 데이터 자릿수보다 많을경우는 그냥 무시 하고,
0 같은 경우 늘어난 갯수만큼 0으로 채우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2) 소수점 적용 케이스
이번에는 소수점이 포함되어 있는 숫자의 경우입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소숫점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.(점)을 기준으로 왼쪽부분은 정수 formatting , 오른쪽 부분은 소수점의 formatting을 관여하는 부분입니다.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4LMS9/btrG8saWGf9/AAAAAAAAAAAAAAAAAAAAANpdergdNck8zkhklM0WZkIlZWhwpJR1ukTb8TU_zOf4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SUhNasdEj%2Bi8k3qOSN5VD8KhQc4%3D)
정수 파트에서는 #, 0 하나만 적어줘도 정수부분을 다 출력 해줬는데 소수점 파트는 #, 0 한개씩만 적으니 1자리수만 출력합니다.
이번에는 소수점 파트에 #, 0 각각 2개씩 넣어보았습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dbv6YQ/btrG8lv0q54/AAAAAAAAAAAAAAAAAAAAAHOyM_Nqzlpp_lvwrdW_OSRbqLSCM1YmMYi0GOO1KM6a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iKWBGVKuFedkqOAUa6EztN4IJ%2Bg%3D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c2XHeZ/btrG9lozBzc/AAAAAAAAAAAAAAAAAAAAANpIX-lpI3RX6dxRi_ikMWLc1DFGEkRheV63kiGumjKk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ev9qQnpD0qZ1sTRTEzcohx8DdZE%3D)
소수점 2자리수까지 출력이 되네요.
그러면 5개를 넣어보면 어떻게 될까요?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5개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zzwyh/btrG8nm5pUN/AAAAAAAAAAAAAAAAAAAAAIOkbQ4FCumCW4hvPxI1TxWPedwNn5bc8Ho9aaPCgQjK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SOhPA70nYB6jiDlT6gy4p%2BCFA4c%3D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2) 소수점 적용 케이스 output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22pED/btrG8zt0NQT/AAAAAAAAAAAAAAAAAAAAAIdY3vE3AI_DaOrG3-1U42k-qamgq1zWwnNEFLs1rZmY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4tZgyGFoevwccXe4WT2%2Fgx%2BHk1A%3D)
0은 부족한만큼 뒤에 0을 추가하고, #은 입력 자리숫자보다 많은 부분은 그냥 무시합니다.
+보너스
큰 자리 숫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콤마(,)를 통해 천의 자리 마다 끊어주는데요.
이 기능을 string.Format을 통해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.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+보너스 콤마구분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VfAY6/btrHbUKlx5E/AAAAAAAAAAAAAAAAAAAAAP2ndvTZWy0PCUw6BRh35E_o0PMtiCqfdZbPjuTrYYKh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ZNzo%2BNqE%2Bc4rQVtEHrKfRCbstF0%3D)
output:
![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+보너스 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- undefined - +보너스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bQWZ6D/btrG8sWlHcE/AAAAAAAAAAAAAAAAAAAAADWQZ4586_V-g29zPlN8d-sLeGOOuxfnnFTV2nGnNbnd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566523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N58mQepXpAawF5RgccfZFC%2FjFiY%3D)
'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#] SQL in / not in 기능을 LINQ로 구현 (0) | 2022.07.15 |
---|---|
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(0) | 2022.07.14 |
[c#] EventHandler란? (0) | 2022.07.12 |
[c#] 이벤트란? | 델리게이트와 차이 (0) | 2022.07.11 |
[c#] 이메일 자동으로 보내기 (gmail smtp 이용) 최신 + 파이썬 (3) | 2022.07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