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ring.Format 함수에 조건문 기능이 있다는거 알고 계셨나요?
이를 통해 입력 값이 양수일때는 + 를 붙히고, 음수일때는 - 를 붙히는 기능을 구현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
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
입력 값으로 20, 양수가 들어오자 "양수" 가 출력이 됩니다.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 입력값 양수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다음으로 -20, 음수가 입력으로 들어오자 "음수" 가 출력이 됩니다.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 입력값 음수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1) 양수, 음수에 따른 formatting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감이 오시나요?
입력으로 양수가 들어오면 첫번째 위치한 값이 출력되고, 음수가 들어오면 두번째 위치한 값이 출력이 되는 것입니다.
이러한 원리를 통해 formatting 기법을 적용해보겠습니다.
2) # formatting 기법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2) # formatting 기법 #포매팅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입력값이 양수임으로 첫번째에 값이 들어가게 됩니다.
output: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2) # formatting 기법 출력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다음으로 -20 , 음수인 값이 들어오니 두번째에 위치한 -# 에 해당하는 패턴이 적용 되는걸 알 수 있습니다.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2) # formatting 기법 음수인풋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2) # formatting 기법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2) # formatting 기법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3) 0일 경우는?
만약 입력값이 0이라면, 이 친구는 양수에 해당될까요? 아니면 음수에 해당될까요?
기본적으로 0은 양수로 인식을 하여 첫번째 위치한 값이 출력됩니다.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)
output: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0aJn/btrHhbrJQrI/1HmYrVnpKT2aTA3GcTjgT1/img.png)
하지만, 오직 0만을 위한 조건을 걸 수도 있는데요.
;(세미콜론)을 추가해, 3번째 칸을 만들어 주는것입니다.
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IjOY/btrHdYNDErC/LYiKIw9PdhRy3sJLWFE7ok/img.png)
output:
![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 [c#] 양수일때 + 넣기 (using String.Format) - 이 글을 읽기 전 선수 지식 포스팅 - 3) 0일 경우는?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MSfoO/btrHdKCouzI/eWsZnkJ26YiLoek51vRki0/img.png)
'c#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#] LINQ First vs Single | FirstOrDefault vs SingleOrDefault 차이 (0) | 2022.07.15 |
---|---|
[c#] SQL in / not in 기능을 LINQ로 구현 (0) | 2022.07.15 |
[c#] string format ### 000 차이 (0) | 2022.07.13 |
[c#] EventHandler란? (0) | 2022.07.12 |
[c#] 이벤트란? | 델리게이트와 차이 (0) | 2022.07.11 |
댓글